| 한국사 문서본 문서는 10월 유신에 대해 서술합니다. |
||<-2><tablealign=right><tablewidth=350><tablebgcolor=#404040><tablebordercolor=#404040><bgcolor=#404040>


||||<-2><bgcolor=#404040>

대한민국의 역사적 사건 ||||<-2>
10월 유신
十月維新 | October Restoration ||||<colbgcolor=#404040>
시기 ||<colbgcolor=#ffffff>
1972년 10월 17일 ||||
장소 ||
대한민국 전역 ||||<|3>
관련 인물 ||
주도 세력 박정희 정부 민주공화당 ||||
반대 세력 신민당 ||||
주요 인물 대통령
박정희 국무총리
김종필 신민당 국회의원
김영삼 신민당 국회의원
김대중 ||||
결과 ||
제3공화국 해체
제4공화국 수립 ||||
영향 ||
부산·마산 민주 항쟁 /
10.26 사건 ||
== 개요 ==>유신 체제는 공산 침략자들로부터 우리의 자유를 지키자는 체제입니다.
큰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는 적은 자유는 일시적으로 이를 희생할 줄도 알고, 또는 절제할 줄도 아는 슬기를 가져야만 우리는 보다 큰 자유를 빼앗기지 않을 것입니다.>>우리를 노리고 있는 침략자들은 우리의 내부에 어떤 허점만 생기기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이런 판국인데, 우리도 남과 같이 주어진 자유라고 해서 이를 다 누리고 싶고, 또 남이 하는 짓은 다 하고 싶고, 그러고도 자유는 자유대로 지키겠다고 한다면, 또 지킬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면, 이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전혀 알지 못하는 환상적인 낭만주의자라고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. >>공산주의자들에게 그렇게도 많은 도전을 받아왔고 그렇게도 엄청난 피해를 입고도 또 지금 이 시각에도 그들의 도전이 계속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, 아직도 악몽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는 참으로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. 한국전쟁이 끝난 지 벌써 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. 그동안 국제 사회에는 많은 변동이 생겼습니다. 우리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정세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. 그러나 이와 같은 변천 속에서도 하나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습니다. >>그것이 뭐냐,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대남 적화 야욕입니다. 이것만은 하나도 변화한 것이 없습니다. 6.25 당시나, 또는 6.25 전이나, 또는 지금이나,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는 이 엄연한 사실을 우리는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.">>---->
박정희, 1974년 10월 1일, 건군 27주년 국군의 날 행사 연설 중
1972년 10월 17일
대한민국에서 발생한
박정희 대통령의
헌법 개정 사태. 박정희 대통령이 위헌적 계엄과
국회 해산 및 헌법 정지의 비상 조치 아래 위헌적 절차에 의한
제3차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
제3공화국 헌법을 정지한 것을 말한다. 박정희 정권의 최대 과오이며,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어두운 시대를 보여주는 사건이다.
== 같이보기 == *
3선 개헌 *
10.2 항명 파동 *
메이지 유신